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LOSE HEADER

Research Highlights

Population Response to Air Pollution and the Risk of Coronavirus Disease in Chinese Cities during the Early Pandemic Period.

Miryoung Yoon, Kim, Jong-Hun Kim, Jisun Sung, Ah-Young Lim, Myung-Jae Hwang, Eun-Hye Kim, Hae-Kwan Cheong.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2021; 18(5):2248. DOI: 10.3390/ijerph18052248
SARS-CoV-2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병인 COVID-19는 2019년 중국 우한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단기간에 걸쳐 전 세계적 범 유행으로 진행되었다. COVID-19의 전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마스크 착용, 손 씻기 등의 개인 건강행동과 사회적 거리 두기, 이동 제한 등 국가적인 중재를 동시에 시행함으로 각 수단 간의 강력한 상호작용으로 COVID-19의 전파를 예방하고 있다. 마스크 착용은 COVID-19의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단이며, 마스크 착용과 같은 건강행동은 COVID-19 감염병을 통제하는데 중요한 조치이다. 본 연구는 초기 대유행 기간 동안 COVID-19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수단으로 대기오염에 대한 건강행동의 영향을 추정하였다.
건강행동 중 마스크 착용의 영향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COVID-19가 호흡기 감염병이라는 사실이 잘 알려지지 않은 시기에, COVID-19 이외의 이유로 마스크를 착용하여야 한다. COVID-19가 처음 보고된 중국은 연간 평균 PM2.5 농도가 39.1 μg/m3 로 전 세계 대기 오염 순위에서 11위를 차지할 정도로 대기 오염이 심한 국가이다. 또한 대기 질 지수 (AQI)가 100 포인트 상승하면 Anti-PM2.5 마스크와 모든 안면 마스크의 총 구매가 각각 70.6 %와 50.4 %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공기질이 열악한 날에 마스크를 착용하면, COVID-19가 일반 인구 집단에게 감염병으로 인지되지 않은 시기에, 대기오염으로 인한 마스크 착용이 COVID-19 예방효과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주요 도시 폐쇄 후 첫 2주 동안 중국 159 개 도시에서 COVID-19의 발병률을 산출하였다. 발병률은 기상요인을 고려한 폐쇄 2주 전 대기오염 수준과 일반화 선형모형(GLM)에 적합하였다.
그 결과 PM2.5와 NO2 수치가 대기 질 지수(AQI) 1단위 증가했을 때 감염 위험은 각각 0.7%와 3.3% 감소하였으며, 도시 간 이동 수단인 고속철도 노선수를 고려하였을 때, PM2.5와 NO2가 1 AQI 증가하였을 때, PM2. 5와 NO2의 상대위험비(RR)는 각각 0.990 (95 % CI, 0.984 ~ 0.997), 0.946 (95 % CI, 0.911 ~ 0.982) 이었다. 본 연구는 대기오염으로 인한 마스크 착용 건강행동이 초기의 COVID-19 발병률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는 초기 감염병에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조기 개입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IJERPH 3월호 520편 논문 중 표지논문으로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