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LOSE HEADER

Research Highlights

Ssu72-HNF4α signaling axis classify the transition from steatohepatitis to hepatocellular carcinoma

Hyun-Soo Kim, Joon-Sup Yoon, Yoon Jeon, Eun-Ji Park, Jin-Kwan Lee, Si Chen, Ho Lee, Jee Young Park, Heounjeong Go and Chang-Woo Lee

CELL DEATH AND DIFFERENTIATION
지방간염은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는 만성적 간염을 동반한 간질환으로 간암 발생의 원인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방간염과 간암 발생 사이의 연관성은 다양한 연구를 통하여 계속적으로 제시되어 왔으나, 이를 연구하기 알맞은 동물모델의 부재로 인해 지방간염 유래 간암의 발병 기작을 이해하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해서 어려움을 겪어왔다. 본 연구진은 자체적으로 제작한 간 특이적 Ssu72 결손 마우스 모델에서 매우 높은 발병률로 비알콜성지방간질환 및 비알콜성지방간염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간 특이적 Ssu72결손은 대사질환 유도 간암 발생 모델에서 간암 발병률을 크게 증가시켰을 뿐만 아니라, 간의 전구세포의 수 역시 크게 증가시켰다. 본 연구진은 Ssu72가 간세포 기능의 주 조절 인자인 hepatocyte nuclear factor 4α(HNF4α)의 탈인산화(hypo-phosphorylation)를 유도하며, Ssu72 결손시 성숙한 간세포의 역분화를 일으켜 전구세포로의 변환을 야기함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Ssu72 매개 HNF4α의 유전자 전사 조절이 간세포의 역분화 가능성을 조절함으로써 지방간염 관련 간암 발생 및 진행에 기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지방간염 관련 간암 발생에서 병인의 기초가 되는 Ssu72 매개 HNF4α 신호전달을 통한 간세포의 역분화 조절을 규명하였으며, 이는 지방간염 관련 간암에 대한 새로운 치료 표적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