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MT7 ablation in cardiomyocytes causes cardiac hypertrophy and fibrosis through beta-catenin dysregulation
Byeong-Yun Ahn, Myong-Ho Jeong, Jung-Hoon Pyun, Hyeon-Ju Jeong, Tuan Anh Vuong, Ju-Hyeon Bae, Subin An, Su Woo Kim, Yong Kee Kim, Dongryeol Ryu, Hyun-Ji Kim, Hana Cho, Gyu-Un Bae, Jong-Sun Kang
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S
- 심근비대증 및 심근섬유화 과정에서 Wnt signaling의 과활성이 밝혀지면서 Wnt signaling을 조절하는 분자적 조절 기전 규명은 심혈관 질환의 치료 개발에 주요 관심사이다.
- 본 연구진은 PRMT7 (Protein arginine methyltransferase 7) wholebody KO 생쥐의 심기능 이상과 함께 심근이 비대해짐을 발견했다. 또한, 심혈관 질병 모델에서 PRMT7 발현양이 감소된 것을 통해 PRMT7이 심혈관 질환에서 주요한 기능을 할 것이라 가정하고 본 연구를 진행했다.
- PRMT7의 발현양 감소는 심근 비대를 유도했으며, 반대로 PRMT7의 과발현은 Angiotensin II로 유도되는 심근비대증을 억제했다. 이에 대한 분자적 조절 기전을 분석하고자 PRMT7 KO 생쥐의 심장을 이용하여 RNA sequencing을 진행한 결과, Wnt signaling이 유의미하게 변화된 것을 확인했다. PRMT7의 발현양 및 활성 조절을 통해 Wnt signaling의 활성이 조절됨을 확인했다. Wnt signal의 주요인자인 b-catenin에 PRMT7이 interaction을 하고 arginine 93 residue에 methylation시켜 b-catenin의 활성을 조절함을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진은 PRMT7이 b-catenin의 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심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 있으며, 이 조절기전이 심혈관 질환의 치료 전략이 될 거라 기대하고 있다.
- 이 연구내용은 2022년 1월 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s 저널에 게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