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CLOSE HEADER

Research Highlights

PRMT1 suppresses doxorubicin-induced cardiotoxicity by inhibiting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Kim SW, Ahn BY, Tran TTV, Pyun JH, Kang JS, Leem YE.

CELLULAR SIGNALLING
- Doxorubicin(Dox)은 효율적인 항암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심근병증과 같은 부작용 유발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적임.
- Dox의 독성 유발이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보고되었으나, 현재까지 Dox 처리로 인한 명확한 심근병증 유발 조절 기전 연구는 미비한 상태임. 근래 들어 심근의 기능장애와 세포사멸을 유발하는 새로운 작용 기전으로 PERK/ATF4/CHOP axis를 통한 endoplasmic reticulum(ER) 스트레스가 주목받고 있음.
- 본 연구팀은 이전 연구를 통해 PRMT1이 ER 스트레스 조절을 통해 심근세포 생존에 중요함을 규명하였음.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PRMT1에 의한 Dox 관련 심근독성 조절 기전을 분석하고자 하였음.
- 심근세포를 대상으로 PRMT1을 과발현하거나 결손하여 연구를 진행한 결과, PRMT1이 Dox로 인해 유발된 세포사멸, 산화적 스트레스, DNA damage를 저해함을 확인함.
- Dox를 단시간 처리하였을 때, PRMT1이 핵에서 ER로 이동하고 아르기닌 메틸화 활성이 급격히 증가하였음.
- 심근세포에서 PRMT1은 ER 스트레스 관련 인자인 ATF4의 아르기닌 메틸화를 유발하여 비활성화시킴으로써 Dox 처리로 인해 증가된 ER 스트레스를 저해함을 규명함.
-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PRMT1이 ER 스트레스를 저해함으로써 Dox에 의해 유발되는 심근독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PRMT1이 Dox에 의한 부작용을 저해하는 치료 물질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음.
- 본 연구내용은 2022년 10월 Cellular signalling (IF:4.850)에 게재되었음(Cell Signal. 2022 Oct;98:110412. doi: 10.1016/j.cellsig.2022.110412).